필자는 수년간 조직 성과 및 교육 평가 외 수 많은 Survey 결과를 분석하면서 고려했던 기초 경험을 바탕으로 평가자와 평가기준이 다른 집단의 평가결과 표준화 방법을 간략하게 소개하고자 합니다.

예를들어, 1학기 빅데이터강의를 신청한 수강생이 많아, 2명의 교수가 전공계열이 다른 4개학과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 프로그램을 개설했다고 가정해할 경우, 교수에 대한 강의 만족도와 학생에 대한 평가 결과를 어떻게 받아 들여야 할까요?

만족도 측정 시에는 우호적인 집단과 가혹한 집단이 있을 수 있고, 평가자에 따라 배점구간을 1점 혹은 5점 단위로 편차가 상이하게 평가할 수도 있습니다.

A교수는 우호적 성향으로 최저 80점을 기준으로 1점 단위로 학생들을 평가했고 B교수는 가혹한 성향으로 최저 70점을 기준으로 5점 단위로 학생들을 평가했다면, A그룹과 B그룹의 학생들 중 누가 1등일까요?

강의별 강사와 교육생이 상이하지만, 
교육 후 교육결과 평가를 해야하는 경우 평가 결과를 표준화 하는 방법을 기술해 보겠습니다.

A강의와 B강의의 교육결과 평가를 표준화하려면,
각 강의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동일하게 맞추면 기준이 같아  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1) 전체평균 구하기 : 
     = (A강의 평균 + B강의 평균) / 2

2) 강의별 보정계수 구하기 : 
     = 전체평균 / A강의 평균
     = 전체평균 / B강의 평균

3)  평가점수 보정하기 :
     = 평가점수 * 강의별 보정계수

-------- [1] 평균 보정 : A강의와 B강의의 평균이 같아 집니다. --------


4) 보정된 평가점수의 (A강의, B강의 모두) 전체표준편차 구하기 :
    = (엑셀 함수의 경우,  STDEV.P 사용)

5) 표준화 점수 구하기
    = (전체표준편차 / 보정된 A강의 표준편차) * (A강의 보정점수 - A강의 보정평균) + 전체평균
    = (전체표준편차 / 보정된 B강의 표준편차) * (B강의 보정점수 - B강의 보정평균) + 전체평균


--------- [2] 표준편차 보정 : A강의와 B강의의 표준편차가 같아 집니다. --------


평균과 표준편차가 같아짐에 따라 
강의별 상이한 강사와 평가한 교육생이 달라도 기준이 같아지므로
표준화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